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자사주 매입 목적 간단하고 쉽게 정리하자. 자사주는 자기 회사 주식 줄임말이다. 자사주를 취득한다는 것은 회사가 회삿돈으로 자기 주식을 산다는 얘기다. 자기 회사 주식을 자기 회사 돈을 주고 다시 사는 이유는 뭘까? 그 이유에 대해서 하나씩 정리해봤다. 1. 주가 관리 기업이 굳이 많은 돈을 들여가면서 자기 주식을 사는 이유 중 일반적인 이유가 주가 관리다. 주식 시장이 불황이거나 한 기업의 주가가 어떤 이유로 인해 내려가고 있는 상황이라면 자사주를 사들이기로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럼, 자사주 취득이 어떻게 작용해서 주가를 올려줄까? 간단하게 말하자면, 자사주를 취득하면 유통 주식수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유통 주식 수가 줄어들면 주당순이익, 주당순자산 등 주당 가치가 오른다. 영향력이 주가에까지 전달된다. 쉽게 정리해보자. A기업 주식 10주.. 더보기
주식투자 종목 선정시 확인해야 하는 재무지표, 경영실적 주식투자할 때 투자하려는 종목(기업) 선별하는데도 쉽지 않다.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2,534개에 이르는 기업의 투자 가치를 일일이 파악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기업의 가치를 빠르고 간단할 수 있는 것은 없을까? 종목 선정할 때 우선 체크해야 하는 재무정보와 경영실적 지표를 정리했다. 1. 매출액 기업 실적 성적표인 재무제표를 확인할 때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가장 먼저 파악해야 한다. 먼저, 매출은 물건을 팔거나 용역을 제공하는 등 기업이 영업활동을 한 대가로 벌어들인 모든 수익을 말한다. 재무제표는 전년도 기업의 영업 성적으로 정리한 표다. 매출액을 살펴보면 전년도 기업의 영업활동이 어떠했는지를 대략 파악할 수 있다. 매출액이 좋다고 해서 기업이 이익이 남았다곤 할 수 없으니 영업이익, .. 더보기
인적분할 분할비율 계산하는 방법 인적분할 경우에는 분할비율을 구해야 한다. 합병과 관련해서도 합병 비율이 있다. 비율이라고해서 비슷해보인다. 하지만 비율을 표기하는 방식과 계산방식에서도 차이가 있다. . 분할비율은 어떻게 표시되고, 어떻게 계산되는지 먼저 살펴보자. 인적분할 분할비율 기업을 분할하면 존속법인과 신설법인으로 나뉜다. 이 두 법인이 순자산을 비교한 비율이다. 인적분할 할 때 분 여기서 순자산이란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을 말한다. '자산 - 부채 = 순자산 = 자본' 으로 정리할 수 있겠다.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의 큰 차이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의 차이는 신설법인의 주식을 누구에게 주느냐다. 그 차이에서 비롯되어 분할비율 적용여부도 달라진다. 물적분할은 신설법인의 주식을 존속법인에게 모두 준다. 주식 100%를 통째로 존속법인에.. 더보기
물적분할 인적분할 (단순분할) 뜻과 차이점 하나의 기업을 두 개나 그 이상의 기업으로 쪼개는 것을 분할이라고 한다. 기업을 분할하는 방법에는 물적분할, 인적분할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각각의 분할 방식의 특징과 분할 후 주주들의 권리는 어떻게 변화하는지 정리해봤다. 먼저 알아야 할 분할 관련 단어 물적분할, 인적분할과 관련된 몇가지 용어부터 정리해봤다. 다음 소개되는 단어들은 비슷해 보이지만 차이가 있다. 개념 차이가 극명하게 나눌 수 있다면 구분하기 쉽다. 하지만 비슷비슷하면서 조금씩 차이가 있다면 오히려 더 분간하기가 어려울 때가 있다. 알아두면 혼동을 줄일 수 있으리라 본다. 또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을 정리하면서 많이 나오는 단어이기도 하다. 미리 알아두면 분할을 구분하는데도 도움이 될리라 본다. 존속법인, 신설법인 물적분할과 인적분할을 알아.. 더보기
전자공시에 자주 나오는 자산양수도, 영업양수도 차이 전자공시와 관련해서 영업양수도와 자산양수도가 자주 나온다. 영업양수도는 케이크 가게를 통째로 파는 것이라 볼 수 있고, 자산양수도는 케이크 기계만 따로 파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차이점에 대해 대략적인 이미지를 그렸으니 차이점을 알아보자. 양수도 영업양수도와 자산양수도를 알아보기 전에 양수도부터 정리해보고 가려한다. 자주 쓰는 단어가 아니고, 경제용어와 함께 사용되면 웬지 복잡하게 느껴지기 때문이기도 하다. 양수도는 양수와 양도를 함께 붙여서 쓴 것이다. 먼저 '양수(讓受)'는 받는다는 의미다. 넘겨 받는다는 것. 영업양수, 자산양수는 영업, 자산을 넘겨 받는다는 뜻이 된다. '양도(讓渡)'는 양수의 반대다. 당연히 넘겨준다는 의미가 된다. 영업이나 자산을 넘겨준다는 뜻이 된다. '양수도'는 넘겨주고받는.. 더보기
대주단이란 대주단이란 단어에 대해 정리를 하려 한다. 부동산 개발, 기업공시에서 이 단어가 쓰일 때가 많았다. 이 두 가지 경우에 한정해서 의미를 살펴보고 '대주'부터 정리해서 대주단과 대주단이라는 단체를 만드는 이유에 대해서도 정리해봤다. 대주 대출을 해주는 금융기관을 대주라고 한다. 한자로 옮겨적으면 '貸主'가 된다. 빌릴 대(貸에) 주인주(主) 자다. 빌려주는 주체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대주는 부동산 개발에서 시행단계에서 자금을 모으는 프로젝트 파이낸싱 단계에서 사용된다. 금융회사로부터 자금을 빌린다. 그래서 자금을 빌려주는 주체는 바로 금융회사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주는 물건이나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과 관련해서 대주로 사용할 때는 자금을 빌려주는 금융회사를 대주라고 한다.. 더보기
유상감자 쉽고 자연스럽게 알아가자. 유상감자는 자금을 확보하거나 회수하려는 목적으로 한다. 유상감자를 하는 이유에 대해 몇가지로 나누어 정리해봤다. 그 전에 먼저 유상감자의 뜻부터 이해하면, 감자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감자과정을 이해하면 유상감자로 자금이 회수되는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유상감자란 유상이란 대가를 지급한다는 뜻이다. 감자란 자본금을 감소시킨다는 의미. 종합하면 유상감자란 대가를 지급하고 자본금을 감소한다는 의미다. 조금더 자세히 말하면 회사가 주주들에게 대가를 지급하고 자본금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감자를 하는데 왜 주주들에게 대가를 지급할까? 감자하는 과정부터 알아보면 이해하기가 수월하리라 본다. 먼저 자본금이 무엇인지 알면 과정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자본금은 일상적인 말로 표현하면 사업자금이라고 이해.. 더보기
주식 감자, 액면분할, 액면병합 차이점 감자, 액면분할, 액면병합을 각각 진행할 경우 자본금, 주식수, 액면가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려 한다. 차이점을 정리해두면 각각의 개념을 정립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면서 개념이 더 뚜렷하게 정리되리라 본다. 감자 자본금을 줄이는 것. 감자란 단어에서 뜻을 찾자면 '자본금을 감소하다' 정도일 것이다. 자본금을 감소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발행주식수를 줄이거나 주식의 액면에 표시된 액면 가격을 줄이는 방법이 있다. 자본금은 회사에서 발행한 총발행주식수에 액면가를 곱한 값이기 때문에 자본금을 구성하는 두 가지 요소 중 하나를 줄이면 자본금은 감소하게 된다. 이 말은 즉 감자를 하면 자본금은 당연히 감소하고, 발행주식수와 액면가 중 둘 중 하나는 감소하게 된다는 뜻이 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