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

국채 금리 떨어지면 주식이 오른다? 몰랐다간 손해보는 투자 공식 안녕하세요, 투자자 여러분! 오늘은 주식 시장과 국채 금리의 관계에 대해 쉽게 재미있게 설명해볼게요. 금리가 떨어지면 주식이 왜 오르는지, 반대로 금리가 오르면 왜 주식이 흔들리는지 알아봅시다!  1. 국채 금리란? 그리고 왜 중요할까? 국채 금리는 정부가 돈을 빌릴 때 내는 이자율이에요. 쉽게 말해, 우리가 은행에 돈을 맡기면 이자를 받듯이, 정부도 돈을 빌릴 때 "우리 채권 사주면 이자 줄게!~" 하는 거죠.  이 국채 금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우리나라는 한국은행) 같은 중앙은행의 정책에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는데, 이게 주식 시장에 엄청난 영향을 준다는 사실!   2.국채 금리가 떨어지면 주식 시장이 오르는 이유국채 금리 국채 금리가 낮아지면 투자자들은 이렇게 생각해요. 1) "채권 이자가 별로네..... 더보기
월가의 최신 소식: QT 종료 임박과 증시 사상 최고 기록 최근 월가에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양적 긴축(QT)종료 논의와 함께 미국 증시가 또 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2월 19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에서는 S&P500, 나스닥, 다우지수가 소폭 상승하며 기록을 다시 썼습니다. 금리 하락, 달러 약세, 유가 안정 등이 긍정적인 시장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는 가운데, FOMC 회의록 공개 후 시장은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1. 미국 증시, 사상 최고 기록 경신미국 증시는 최근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특히 S&P500지수는  0.24% 상승하며 6,144포인트를 기록했고, 나스닥은 0.07%, 다우지수는 0.16%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기술주의 부진으로 인해 시장 전체의 상승.. 더보기
채권 투자 방법_용어 정리 채권을 투자 방법은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 HTS, MTS에서 채권 투자를 하면서 자주 접하게 되는 채권 기본 용어부터 정리했습니다. 채권종류 채권은 채권 발행자에 따라 국채, 지방채, 회사채로 나뉩니다. 국채는 정부 지방채는 지방자치단체 회사채는 회사에서 발행합니다. 채권이름만 봐도 쉽게 파악할 수 있죠. 국채, 지방채는 모두 정부에서 보증하는 것이라 안전합니다. 반면 회사채는 발행회사의 신용도 차이가 큽니다. 그래서 기업의 신용등급 확인이 꼭 필요합니다. 특별법에 의해서 설립된 법인이 발행하는 채권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은행, 한국전력, 한국도로공사, 예금보험공사에서 발행하는 채권이 있는데요. 통화안정증권, 한국전력채권, 한국도로공사채권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이들 채권도 국가에서 보증하는.. 더보기
대용증권, 대용가격 Easy하게 대용증권, 대용가격의 뜻을 검색하면 뜻이 대부분이 어려운 말로 채워져 있습니다. 뜻을 이해하기 위해 다른 용어의 뜻을 다시 검색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재검색하는 과정 없도록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대용증권 먼저 대용증권부터 간단하게 확인해 보겠습니다. 증권사에서도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빌린 돈으로 주식이나 채권을 사는데 바로 사용할 수 있고요. 증권사라도 돈을 빌려주고 그 돈을 못 받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죠. 그래서 빌려준 돈을 못 받을 경우를 대비하는데요. 돈을 빌려는 주되, 담보를 요구합니다. 은행에서 주택을 담보로 주택담보대출을 해주듯이 말이죠. 증권사는 증권을 담보로 돈을 얼마를 빌려줄지를 판단합니다. 대용증권은 담보가치가 있어야 하니, 여기서 말하는 증권은 돈이 되는 증권 즉 유가증권.. 더보기
주식 거래 할 때 알아두면 도움되는 용어 간단 정리 주식 거래 할 때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와 개념을 정리했습니다. 상식 수준의 용어나 개념이라도 주식을 시작하는 분들에게는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주식을 시작할 때 먼저 알아두면 편리하겠죠. 주식시장 주식시장은 주식을 사고팔기 위해 투자자들이 모이는 곳입니다.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은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한국장외시장 등 네 군데로 나누어죠 있습니다. 주식시장에 따라서 거래 대상이 되는 기업 규모가 차이 납니다. 대기업의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시장 또 어떤 시장은 상장되지 않은 기업의 주식을 거래할 수도 있습니다. 간단하게 확인해보겠습니다. 유가증권시장 KOSPI Market, 코스피 시장이라고도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대기업, 우량 기업의 주식을 거래.. 더보기
채권 투자 듀레이션 개념만 간단하게 이해하기 듀레이션의 뜻은 검색해 보면 아주 쉽게 찾을 수 있다. 채권 투자에 있어 중요한 지표라고 하는데, 알아두면 좋다고 한다. 그런데 검색한 결과도 사실 이해하기 쉽지 않다. 듀레이션의 뼈대에 좀더 쉽게 접근해 보자. 듀레이션이란 채권 듀레이션 개념을 검색하면 '현재가치를 기준으로 채권에 투자한 원금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라고 한다. 개념을 줄이고 줄여서 이 정도로 쉽게 정리할 수 있었다. 여기서 더 나아가 하나씩 뜯어서 살펴보면 더 쉬울 것 같다. 먼저, '채권에 투자한 원금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부터 보자. 채권에 100만 원을 투자했을 때, 그 돈 100만 원 회수하는 기간이 얼마나 걸렸냐?를 말한다. '만기일 아닌가?'라고 단편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채권의 종류에 따라 듀레이션이 만기일이.. 더보기
국채 이름에서 채권 주요 정보 확인하기 투자 상품을 제대로 아는게 투자의 첫걸음이다. 채권은 발행정보와 유통정보를 파악하면 채권 현금흐름 파악의 첫단추는 끼워진다고 한다. 특히 우리나라 국채의 경우, 채권의 이름에 대부분 주요 정보가 나타나 있다고 한다. 국채 이름에서 어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국채 '국고00875-2312(20-8)' 예를 들어서 알아보자. 먼저, 하이픈 앞쪽 숫자는 국채 표면금리를 뜻한다. 00875는 표면금리를 나타내는데, 맨 앞에 위치한 0은 무시하고 두번째 0에서부터 표면 금리로 읽으면 된다. % 단위는 생략되어 있으니 뒤에 %를 붙여주면 된다. 00875에서 앞의 맨 앞자리의 0은 무시하고 읽으면 0.875%가 된다. 하이폰 뒤쪽에 위치한 숫자 '2312'는 국채 만기일을 뜻한다. 2023년 12월을.. 더보기
신종자본증권에 은행들이 그토록 좋아하는 이유 신종자본증권이 '완판'되고 있다. 덕분에 금융지주와 은행들은 적은 부담으로 자본을 확충할 수 있고, 투자자 입장에선 수익성과 안정석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 신종자본증권 뜻과 함께 특징과 함께 은행과 금융지주사들이 신종자본증권을 활용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신종자본증권의 본질은 채권 신종자본증권의 진짜 모습은 영구채권, 영구채다. 영원히 갚지 않아도 되는 채권이란 뜻이다. 예를 들어 만기 30년 채권, 동시에 채권 발행 기업이 만기를 자유롭게 연장할 수 있다. 그래서 영구채권 또는 영구채라고 부른다. 영구채권에 신종자본증권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회계처리할 때 자본으로 분류하기 때문이다. 신종자본증권 특징 첫째, 재무제표상 자본으로 분류된다. 이 특징이 신종자본증권의 가장 매력적인 요소다. 겉모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