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

주식 자본금 감자, 총발행주식 수 대신 액면가를 하향 조정하는 이유

주식-자본금-감자-액면가-하향조정-총발행주식수

자본금을 줄이는 방법 중에서 총발행주식 수를 줄이는 방법과 액면가를 하향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했다. 액면가를 하향 조정하는 경우는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꼭 필요한 경우가 있다. 감자, 감자의 이유 방법에 대해 간단간단하게 정리해뒀다. 

 

 

 

감자란

자본금의 감소를 말한다. 자본금을 감소하는 방법은 주식을 회수해서 소각하면 된다. 

 

참고로 자본을 줄이는 것은 아니다. 자본금은 자본 속에 포함되어 있다. 자본을 줄이는 것은 자사주 매입과 관련이 있다. 

 

 

 

 

 

 

 

2가지 종류, 유상감자와 무상감자

감자에는 두 가지가 있다. 주주들에게 보상을 하느냐를 기준으로 둘로 나눈다. 

 

주주들로부터 현금을 주고 주식을 회수해서 소각하는 유상감자. 돈을 주고 사 오니까 유상이라고 한다. 유상감자 할 땐 시세보다 조금 더 높은 값을 쳐준다. 

 

현금 한푼 주지 않고 주식을 주주들로부터 회수해서 주식을 줄이는 무상감자. 공짜니까 무상이라고 표현한다. 

 

 

 

 

 

자본금을 줄이는 이유

유상감자를 하는 이유와 무상감자를 하는 이유가 다르다. 같은 감자지만 뚜렷한 차이가 있다. 

 

 

유상감자 하는 이유

먼저 유상감자는 주주에게 주가 시세보다 많은 돈을 두둑이 챙겨준다는 점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유상감자는 주주에게 현금을 지급한다는 뜻이다. 즉 주주 중의 어느 누군가가 현금이 필요할 때 유상감자를 하려고 든다는 것이다.

 

대주주가 자금이 필요할 때 주로 활용한다. 그 돈으로 대주주의 상속세나 소득세 납부를 하기 위해서 유상감자를 추진하기도 한다.

 

또는 투자회사가 주주로 있다면, 투자한 자금을 조기에 회수할 목적으로 실시한다. 투자회사가 대주주거나, 중요한 주주로 자리하고 있다면 유상감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려 할 것이다. 

 

 

무상감자하는 이유

무상감자는 결손금 보전이 목적이다. 동시에 자본잠식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실시한다. 주주의 주식을 무상으로 회수해서 소각하니 자본금은 줄어든다. 원래 자본금에서 소각한 주식만큼 자본금은 줄어드는데, 이 자본금을 주주에게 주는 대신, 기업의 결손금을 제거하는 데 사용한다. 

 

무상감자를 통해 결손금 해소, 자본잠식에서 벗어나는 과정은 아래 포스팅에서 정리했다.

무상증자로 결손금 해소, 자본잠식에서 벗어나는 과정 쉽게 이해하기

 

무상증자로 결손금 해소, 자본잠식에서 벗어나는 과정 쉽게 이해하기

무상증자를 통해서 결손금을 해소하고 자본잠식에서 벗어날 수도 있다. 결손금이 해소되면서 회사의 재무 구조 개선이 된다. 무상감자로 결손금이 해소되고 자본잠식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순

1word-goodvibes.tistory.com

 

 

 

 

 

감자하는 두 가지 방법

자본금을 줄이는 방법은 자본금의 정의를 살펴보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제목에서 이미 나와있는 총발행주식 수와 액면가는 자본금의 구성 요소이면서 동시에 자본금의 의미이기도 하다. 

 

자본금은 이 두가지 요소, 즉 총발행주식 수와 액면가를 곱한 값이다. 자본금의 정의는 아주 간단하다. 

 

그럼, 총발행주식 수나 액면가 중 둘 중 하나를 줄이면 된다. 자본금 의미도 간단하고 공식도 간단하다. 자본금을 줄이는 방법도 두 가지로 정리가 된다. 

 

우선 예를 먼저 들어서 알아보겠다.  총발행주식 수가 1,000주, 액면가가 5천 원인 회사가 있다고 하자. 그럼 이 회사의 자본금은 5백만 원이다. 회사가 감자를 하기로 결정했다. 

 

 

총발행주식 수를 줄이는 방법

총발행주식 중 100주를 소각하기로 했다.  총발행주식 수 1000주에서 100주가 사라지니까  900주가 남는다. 900주에 액면가 5천 원을 곱하면 자본금은 450만 원이 된다. 보통 감자라고 하면 이렇게  총발행주식 수를 감소시키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액면가를 줄이는 방법

총발행주식 수는 100주 그대로 놔둔다. 액면가만 조정해보자. 감자니까 액면가를 하향 조정한다. 액면가 5천 원에서 1천 원을 줄여서 액면가를 4천 원으로 수정했다. 그럼 자본금은 4백만 원이 된다. 

 

 

 

 

 

 

 

액면가를 조정해서 감자하는 이유

감자에서 총발행주식 수를 줄이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런데 액면가를 하향 조정해서 자본금을 감소시키는 이유는 뭘까?

 

총발행주식 수가 적은 기업의 경우에 이 방법을 쓰는 경우가 있다. 주식 수가 감소하면 주식 거래량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거래량이 적다면 주가도 많이 오르기 어렵다. 

 

하루 유동 인구가 만 명인 시장과 1천 명인 시장 중 어느 시장이 거래가 활발할까? 당연히 유동인구가 많은 쪽일 것이다. 주식 거래량도 마찬가지로 해당 회사의 주식이 많을수록 거래는 더 활발할 것이다. 

 

혹은 약간의 거래량만으로도 시세 변동폭이 커진다. 즉 약간의 거래를 통해서 시세를 조작할 수도 있다. 투기 세력에 표적이 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