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태그플레이션, 다양한 투자기관이나 투자은행에서 이 현상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이에 더해서 세계은행에서도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는 경제가 침체하면서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한다. 금리나 통화량 조절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경제 현상이 아니다. 해결 과정에서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4월 26일 발표한 상품 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서 식량・에너지 가격이 급등했는데, 이 여파가 3년여 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식량・에너지 등의 가격 상승으로 물가는 상승할 것이고 경기는 후퇴 등의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에 맞닥뜨리게 될 것이라고 했다.
세계은행: UN산하 기구로서 UN에 산하기구인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국제개발협회(IDA)를 합쳐 세계은행(WB)라고 한다. 설립목적은 전쟁국가의 피해를 복구하고 지원하기 위해서다. 지금은 빈곤 문제 해결, 보건, 교육, 환경과 관련해서 세계 국가들의 사회 개발 분야를 중심으로 지원하고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Stagflation이라고 표기한다. 이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Inflation, 물가상승, 통화팽챙)의 합성어다. 경기는 침체・후퇴하는데 물가는 오히려 상승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경기성장과 인플레이션은 동행한다. 경제가 발전할수록 물가도 오르는 것이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경제 성장과 함께 높은 물가상승률은 문제가 된다. 하지만 적당한 물가상승률은 경제의 활력소가 된다. 한국은행에선 물가조절을 목표로 통화정책을 펼치는데 연간 2~3%의 물가상승률을 목표로 하고 있다.
1년간 2~3%이하로 떨어졌을 때를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이라고 정하고 있다.
스태그플레이션 원인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원유 가격의 상승이 스태그플레이션의 큰 비중을 차지했다. 원유가 큰 비중을 차지했고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이 오르는 경우에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1970년대 오일쇼크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이 대표적인 사례다. 중동전쟁, 이란 혁명으로 인해서 유가가 단시간에 폭등하게 되었다. 미국의 물가는 11% 치솟았지만 경제는 오히려 후퇴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또한 오일쇼크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개발도상국으로서 경제 성장률이 높았던 1973년도에 오일쇼크로 인해 경제성장률이 5.9%로 급락했다. 물가는 20%까지 상승하게 되었다. 당시 경제성장률이 12%인데, 이때 물가도 12%라면 건전한 인플레이션이라고 할 수 있지만, 경제는 후퇴했는데 오히려 물가는 더 높게 뛰어버린 것이다.
흉작이나 정치불안으로 인해 경제 침체, 고물가 상승하는 경우도 1980년대에 있었다.
경기 부양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통화량을 늘렸지만 오히려 경기가 더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경기 불황에는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양적완화 같은 통화정책, 채권을 매입하는 재정정책과 함께 통화량을 늘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정책들을 시행하면서 돈을 시중에 풀었지만, 경기가 침체되는 경우다. 이때 시중에 돈이 불어났기에 돈의 가치는 하락하고 물가는 상승하게 되는 경우다.
스태그플레이션 탈출 성공 사례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은 극복하기 쉬운 것들은 아니다. 인플레이션은 시중 통화량을 줄이는 정책, 디플레이션은 시중에 통화를 늘리는 정책 등을 시행하면 해결할 가능성이 높다. 스태그플레이션에 비교했을 때 해답이 명확한 편이다.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은 골칫거리라고 할 수 있다. 경기침체, 물가상승 이 현상을 같이 해결하기가 어렵기 때무이다. 경기 불황을 해결하기 위해 금리를 낮추거나 시중에 돈을 푸는 정책을 시행했다간 오히려 더 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면 돈의 가치는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물가는 오른다. 물가가 더 치솟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를 잘 극복한 사례가 있다. 1970년대 미국과 영국의 케이스다. 앞서 말했지만 1970년대 오일쇼크로 인해 미국을 비롯해 영국도 스태그플레이션의 그늘에 있었다. 극복하기 위해 우선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 시중의 유동성을 감소시켰다. 즉 시중의 돈을 거두어 들인 것이다.
그럼 다음 문제가 시중에 돈줄을 막았으니 경기가 더 침체된다는 것이다. 이 문제는 기업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해결했다. 기업의 세금을 줄여서 기업이 생산활동과 투자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숨통을 틔어 준것이다.
지금 발생하고 있는 스태그플레이션의 징조들
천연가스는 2024년 4월 이후로 2배 이상 올랐고, 유가는 계속 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24년까지 브렌트유 가격이 1배럴 당 100달러 정도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에너지 가격 상승폭이 더 커질것으로 보고 잇다.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서 물가가 오르고 있고 앞으로도 유지될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에 식량 가격도 스태그플레이션의 중요한 요인이라고 했다. 세계은행에선 식량가격 또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유엔이 식량가격지수를 도입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한다. 앞으로 더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란_분류해서 간단하게 정리 (0) | 2022.05.09 |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차이점 (0) | 2022.05.08 |
환율이 폭등한다고 경제 위기는 아니다? (0) | 2022.05.03 |
PoS 지분증명으로 이더리움 투자가치 대폭 상승 전망 (0) | 2022.05.02 |
고정금리_ 금리도 오르는데 갈아타야 하지 않을까요? (0) | 2022.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