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험 겉핥기

보험기간, 납입기간 쉽게 구별하기

보험기간

보험기간: 50년( 50년간 보험회사에서 보장을 책임진다.)

  • 보험기간이란 보험회사에서 보장을 책임지는 기
    간, 위험기간, 책임기간이고도 한다.
  • 첫보험료를 보험회사에 납입한 후 계약 성립이 
    된다.
  • 20년 납 100세 만기라고 표현할 때 100세 만기
    가 보험기간이다. 100세까지 보험회사에서 위험
    에 대비해 보장을 한다.

  • 종신보험은 만기가 없다. 종신이란 몸이 끝날 때까
    지라는 뜻이다. 따라서 사망할 때까지 보장하기 때
    문에 종신보험의 보험기간은 만기가 정해져 있지
    않다.

 


납입기간

납입기간: 20년 (20년 간 보험료를 내면 된다.)

  • 보험가입자가 보험료를 납입하는 기간을 말한다.
    납입기간과 보험기간이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
    다.(단기납, 일시납은 보험기간보다 짧다.)
  • '20년납 100세만기'에서 20년납이 납입기간이다.
    만약 30세에 보험계약을 체결했다고 가정하면 50
    세까지 보험료를 내면 된다.

 

 


납입기간에 따라 전기납, 단기납, 일시납으로 나눌 수 있다.

  • 전기납: 보험기간의 전 기간에 걸쳐 보험료를 납
    입하는 경우. 보험기간 내내 보험료를 내야 한다.
    보장을 받는 내내 보험료를 낸다는 것이다. 보험
    기간과 납입기간이 같다.(예: 갱신형보험, 실비)
  • 단기납: 보험기간보다 짧은 기간 동안 보험료 납
    입하는 경우(예: 3년납, 7년납, 20년납 100세 만
    기, 10년납 종신 보험, 일반적인 비갱신형 보험)
  • 일시납: 보험계약 체결과 동시에 전 보험기간에
    대한 보험료를 일시에 납입(예: 일시납 연금보험
    비갱신형보험 일시납)

 


납입주기에 따라 나누면, 일시납, 월납, 연납, 2,3,6개
월납으로 나눌 수 있다.

보험료는 매년 1회 납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보험료의

계산의 기초가 되는 예정사망률 이 1년 단위로 측정되
기 때문
이다. 하지만 보험계약자의 편의를 위해 납입주
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 일시납: 전 보험기간의 보험료를 일시에 납입하
    는 방법
  • 연납: 보험료를 매년 1회 납입하는 방법
  • 6개 월납: 보험료를 연간 2회, 즉 6개월마다 납입
    하는 방법
  • 3개 월납:보험료를 연간 4회, 즉 3개월마다 납입
    하는 방법
  • 2개 월납: 보험료를 연간 6회, 즉 2개월마다 납입
    하는 방법
  • 월납: 보험료를 연간 12회, 즉 매월 납입하는 방법

보험료기간

  • 보험료 산출의 기초가 되는 기간 
  • 보통 1년을 단위로 한다.
  • 1년 안에 보험회사에서 보장하는
    보험사고가 일어날 확률을 측정
    해서 보험료를 결정한다.

보험계약기간

  • 보험계약이 성립해서 소멸할 때까지 의 기간
  • 보험기간과 개념이 비슷하다.
  • 예정보험, 소급보험에 따라 보험기간보다 짧
    거나 길 수 있다.

 

면책기간

  • 보험 가입 후 일정 기간 내에 보험사고가 발생
    해도 보험의 보장을 받지 못하는 기간
  • 생명보험에서 자살 면책기간은 2년이다. 보험
    가입 후 2년이 지나서 자살하는 경우에는 보
    험금을 받을 수 있다.
  • 암보험 면책기간은 90일, 암보험 가입 후 90일
    이내에 암 진단을 받을 경우 보장받지 못한다.